1. 교육을 '미래 대비'가 아닌 '현재 경험'으로 바라보기📌
많은 기업은 교육을 직원들이 미래에 필요할 역량을 준비하는 과정으로만 인식합니다. 하지만 Dewey의 철학을 반영하면, 교육은 단순한 사전 훈련이 아니라 업무를 수행하면서 배우는 현재 진행형의 과정이어야 합니다.
2. 조직문화와 학습이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Dewey의 철학을 조직 내 학습 환경에 적용하면, 교육과 업무가 분리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통합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3. 평생학습(Continuous Learning)의 중요성
오늘날 기업들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Reskilling & Upskilling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Dewey의 철학은 이러한 평생학습 개념과도 연결됩니다.
4. HRD의 역할 변화: 트레이너에서 촉진자로🙌
전통적으로 HRD 담당자는 교육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맡아왔지만, 앞으로는 조직 내에서 학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촉진자(Facilitator)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5. 조직문화의 방향: 유연성과 실험이 있는 문화 조성
교육이 인생 그 자체라면, 조직도 실험하고 학습하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 결론
Dewey의 철학을 HRD와 조직문화에 적용하면, 교육은 단순한 "사전 훈련"이 아니라 일터에서의 경험, 협업, 실험, 실패를 포함한 배움의 연속적인 과정이 되어야 합니다. HRD 담당자는 이를 지원하는 학습 중심 조직을 설계하는 역할을 맡아야 하며, 조직문화 역시 실제 업무 경험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결국, 현대 HRD와 조직문화 담당자들에게 주어진 핵심 과제는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일하면서 지속적으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 자체가 바로 교육이며, 곧 조직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자세한 BSC 서비스 안내자료를 원하시면,
아래 배너를 클릭하셔서 BSC 홈페이지의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교육철학 #인생과교육 #HRD #조직문화 #현재경험 #평생학습 #러닝바이두잉 #촉진자 #유연한조직 #지속적성장 #존듀이 #HRD잘하는법
[조직문화] 리더의 따끔한 피드백을 성장의 기회로 삼는 법 (1) | 2025.03.12 |
---|---|
[조직문화] 플럭서스 예술과 조직문화의 시사점 (0) | 2025.03.05 |
[조직문화] 기업교육에서 적합한 동영상을 활용하는 방법 (0) | 2025.02.26 |
[팀빌딩] 심리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팀빌딩 워크샵을 진행할 때 진행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24.10.23 |
[조직문화] 일하는 사람의 자부심을 위하여! (0)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