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더십] 중요사건기법(CIT) 활용한 성과관리

리더십 및 다면평가

by 비에스씨 2024. 2. 7. 08:00

본문

 

성과관리는 구성원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리하고 지원하는 관리 방법입니다. 개인의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하기 위해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는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중요사건기법 또는 결정적사건기법으로 불리는 CIT는 인간 행동에 관한 관찰 정보의 수집 절차로, 질적 방법 중 하나입니다. 2차 대전 중 미 공군 항공심리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참여했던 John C. Flanagan이 1950년대에 소개했는데요. 성공과 실패 등 중요사건과 관련해 개인 진술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객관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확보하는 방법론이라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설문에서는 정해진 문항과 응답 범위 내에서만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CIT에서는 응답자의 생각, 언어로 보다 자유롭게 답변을 들을 수 있는데요. 널리 알려진 Spencer의 역량사전도 CIT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로 개발된 바 있습니다.

 

 

CIT를 활용한 성과관리 인터뷰에서는 아래와 같은 지침에 유념하면 좋습니다.

 

준비 단계

CIT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에 목표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직무별로 역할과 책임, 성과 기준 등을 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인터뷰 과정에서 집중할 내용을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면접 질문 구성

CIT를 활용한 인터뷰는 특정 사건이나 상황에 중점을 두어 직무 수행의 성과를 평가합니다. STAR(Situation-Task-Action-Result) 프레임을 염두에 두고 미리 질문을 만들어 두면 좋습니다. 무엇보다 대상자의 행동(Action)에 초점을 두어 구체적으로 어떤 선택과 판단, 행동을 통해 성공 또는 실패의 결과를 얻게 되었는지 일련의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열린 대화

CIT 인터뷰에서는 개방적인 대화가 중요합니다. 인터뷰 대상에게 특정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고, 그에 따른 행동과 결과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를 제공하세요. 열린 소통은 더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성공과 실패 모두 다루기

CIT는 긍정적인 성과뿐 아니라 부정적인 문제도 다룹니다. 균형잡힌 성과관리 및 개선을 위해서는 성공과 실패 경험 모두를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분석과 피드백

수집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각 인터뷰 대상의 성과를 분석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별 성과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함께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두 개의 사건으로만 CIT를 적용하면 자칫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시간을 들여 성공과 실패 사례를 깊고, 넓게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개인의 기억에만 의존하게 되면 정보의 누락, 왜곡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다면평가, 역량검사 등 다양한 평가도구를 통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CIT를 활용한 성과관리 인터뷰는 개인 및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체계화된 정보 수집, 지속적인 피드백, 개선 계획 수립을 통해 회사와 구성원이 함께 성장해 갈 수 있길 바랍니다.

 

 

(글: 천명재 수석컨설턴트)

 

 

“이 글은 비에스씨 뉴스레터 '비스킷'(2024-02-01)에 실린 내용입니다.

역량평가, 조직문화 등에 관한 새로운 컨텐츠를 받아보시려면 비스킷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 구독 신청하기

 

 


자세한 BSC 서비스 안내자료를 원하시면,

아래 배너를 클릭하셔서 BSC 홈페이지의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