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글
-
[조직문화, HRD] 기업 교육 강사의 '강의력', 이걸로 판별한다!
기업 환경에서 교육의 성패는 강사의 '강의력'에 크게 좌우됩니다. 단순히 내용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진정한 강의력은 전문성과 효과적인 전달 방법, 교육 설계 능력, 그리고 리더십이 조화롭게 어우러질 때 발휘됩니다. 오늘은 기업 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과 이를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강의력의 네 가지 핵심 요소 1. 전문성과 실용성 👩🎓 성공적인 기업 교육의 기본은 강사의 전문성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실용적인 가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내용 전문성: 강사는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실무 경험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를 공유할 수 있어야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용적 교육 설계: 기업의 구체적인 목표와 니..
2025.04.02 07:50 -
[무료 HR 웨비나] (04/24, 목)🔥일잘러 MZ 선발 - 면접 비법🔥
➡️신청하기: https://bsc4.dbcart.net/ ➡️신청하기: https://bsc4.dbcart.net/ 자세한 BSC 서비스 안내자료를 원하시면,아래 배너를 클릭하셔서 BSC 홈페이지의 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2025.03.26 14:37 -
[휴머닉스] 정신 건강을 위한, 디폴트 모드와 마음챙김에 대한 이해
디폴트 모드(기본 모드)는 우리가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뇌에서 활성화되는 정신적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는 외부 자극에 대한 집중 없이, 내면의 생각, 기억, 감정 등이 떠오릅니다. 일상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는 상황들을 통해 디폴트 모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 디폴트 모드의 예 1. 기차나 버스를 타고 가는 동안 🚌 길을 가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주변의 풍경이나 사람들에 대해 크게 신경 쓰지 않으며, 종종 우리의 생각은 아무 목적 없이 흘러갑니다. 이때 우리는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거나, 미래에 대해 걱정하는 등의 생각을 합니다. 실제로 이 순간에 뇌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듯하지만, 우리가 '자동차를 몰 때 손이 스스로 핸들을 잡는 것처럼' 우리의 ..
2025.03.26 07:50 -
[조직문화/HRD] "교육은 인생의 준비가 아니라, 인생 그 자체"(John Dewey)
John Dewey는 "교육은 인생의 준비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인생 그 자체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는 교육을 단순히 미래를 위한 준비 과정이 아니라, 현재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지속적인 과정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철학이 현대 기업의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와 조직문화 담당자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을까요? 1. 교육을 '미래 대비'가 아닌 '현재 경험'으로 바라보기📌 많은 기업은 교육을 직원들이 미래에 필요할 역량을 준비하는 과정으로만 인식합니다. 하지만 Dewey의 철학을 반영하면, 교육은 단순한 사전 훈련이 아니라 업무를 수행하면서 배우는 현재 진행형의 과정이어야 합니다. 실제 업무 경험을 통한 학습 기회 제공: 연수 ..
2025.03.19 07:50 -
[조직문화] 리더의 따끔한 피드백을 성장의 기회로 삼는 법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리더로부터 부족한 점을 지적받은 경험이 있을 텐데요. 처음에는 마음이 불편하고 방어적이 되기 쉽지만, 이런 순간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우리의 성장 곡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실제 경험과 연구를 통해 알게 된 피드백 활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피드백은 '선물'이라고 생각하기 😍 많은 분들이 피드백을 들을 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내가 뭘 잘못했지?"일 것입니다. 하지만 잠깐 생각을 바꿔보면 어떨까요? 리더가 여러분의 성장을 위해 시간을 내어 조언해주는 것이라고 말이죠. 실천 팁:피드백을 들을 때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세요"이런 부분을 개선하면 더 성장할 수 있겠네요"라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여보세요피드백 직후 바로 반박하지 말고 "고민해보겠..
2025.03.12 08:00 -
[조직문화] 플럭서스 예술과 조직문화의 시사점
현대 예술의 다양한 흐름 중 하나인 플럭서스(Fluxus)는 1960년대 초반,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 관념에 도전하며 탄생한 혁신적인 예술 운동입니다. 플럭서스는 예술을 일상생활과 분리된 특별한 영역으로 보지 않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경험으로 확장하려 했습니다. 아티스트 백남준도 플럭서스 작가입니다. 이들의 접근 방식은 예술의 영역을 넘어서, 조직문화에도 큰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플럭서스 예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이 조직문화에 어떤 교훈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 플럭서스란 무엇인가? 플럭서스는 "변화"와 "흐름"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주로 예술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던 운동입니다. 이 운동의 핵심은 관객..
2025.03.05 07:50 -
[조직문화] 기업교육에서 적합한 동영상을 활용하는 방법
효과적인 기업교육은 조직의 성장과 성공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동영상을 활용한 교육은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요소를 결합하여 학습자에게 더욱 몰입감 있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기업교육에서 적합한 동영상을 활용하는 방법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강의 중 짧은 동영상의 효과 강의 중 짧은 동영상을 활용하면 학습자들의 관심을 유지하고 주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해도 향상: 복잡한 개념을 시각적 자료를 통해 간단히 설명집중도 유지: 긴 강의 중 학습자의 주의를 환기흥미 유발: 실생활 사례나 성공 사례를 포함하여 학습 동기 부여 2. 적절한 시점에 동영상 활용하기 강의 중 동영상..
2025.02.26 08:00 -
[채용일반] 채용에서 롤 플레이 평가의 강점과 한계
현대의 채용 프로세스는 점점 더 복잡하고 다각화되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이 기존의 이력서와 면접만으로는 지원자의 잠재력을 충분히 평가하기 어렵다고 느끼며,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롤 플레이(role play) 평가입니다. 이 글에서는 롤 플레이 평가의 주요 강점과 한계를 살펴보겠습니다. ■ 롤 플레이 평가란? 롤 플레이 평가는 지원자가 특정 상황에서의 행동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직접 시연하도록 하는 평가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로 직무 관련 시뮬레이션이나 가상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지원자가 주어진 역할에 따라 행동하고 결정을 내리도록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 응대 상황을 다루는 서비스 직군이나 갈등 관리가 중요한 관리직 채용에서 자주 활용됩니..
2025.02.19 08:00 -
[다면평가] 인턴/수습 사원 평가에서 객관성을 높이는 Partial Ipsative 다면평가 활용법
인턴이나 수습 사원을 평가할 때,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면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평가자의 개인적 편향이나 특정 상황에서의 인상이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Partial Ipsative(부분 강제선택) 다면평가를 활용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Partial Ipsative 평가란? Partial Ipsative 평가는 전통적인 절대적 평가 방식과 다르게 설계됩니다. 이 방식에서는 평가자가 두 가지 특성을 비교하도록 요청하는데, 이 중 하나는 구체적인 평가 항목(예: 문제 해결 능력)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특성(예: 성실성, 책임감)입니다.예를 들어, 평가 질문이 다음과 같이 주어질 ..
2025.02.12 08:00 -
[채용일반] 신입직원 인턴십/수습 기간, 이렇게 평가하세요
인턴십이나 수습 기간을 운영하고 계신가요? 2-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신입 직원의 역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조직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오늘은 성공적인 평가를 위한 실무 가이드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체계적인 평가 계획의 필요성 신입 직원의 인턴십/수습 기간은 실무 능력 평가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 기간 동안 우리는 직원의 업무 수행 능력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조직 문화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 파악하며, 향후 정규직 전환을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게 됩니다. ■ 주요 평가 영역 평가의 첫 번째 영역은 직무 역량입니다. 신입 직원이 얼마나 빠르게 업무를 이해하고 성과를 내는지가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특히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은 주의 깊게 살..
2025.02.05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