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면접] 구조화면접을 하고 있다고요? 정말인가요?

면접

by 비에스씨 2023. 9. 27. 08:00

본문

 

2000년대 이후로 국내의 웬만한 큰 조직에서는 구조화면접을 한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적어도 내부 보고서와 대외 홍보물에서는요. 공공기관도 2010년대에 소위 NCS 기반 채용을 시작하면서 일제히 구조화면접을 도입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표방한 대로 실제 구조화면접을 하고 있을까요?

 

여기서 우선 구조화면접이 뭔지 한 번 살펴 보겠습니다. 네이버가 제공하는 <HRD 용어사전>에는 구조화면접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면접이 진행되며 구조화된 표준화 형식, 즉 동일한 문제와 절차를 각각의 피면접자에게 동일한 순서로 적용하는 면접기법이다. 면접 결과는 각 문제에 따라 기록되어 자료화되고, 전체 면접 대상자를 문제별로 비교, 분석하여 결과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면접기법 중 타당도/신뢰도가 높은 방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조화된 면접 [構造化-面接, Structured Interview] (HRD 용어사전, 2010. 9. 6., (사)한국기업교육학회)

 

NCS 안내자료에 보면 구조화면접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주로 지원자의 취미, 좌우명, 가장 존경하는 사람 등에 대한 질문을 했다면 이제 NCS 기반 채용에서는 표준화된 질문과 평가 기준을 면접관에게 공유하고 지원자의 답변 유형에 따른 추가 질문과 그에 따른 채점 기준 등도 철저하게 훈련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체계적이고 객관적 평가를 하는 구조화면접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한 번 구조화면접을 시행하기 위한 필수 요소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리해 보면 크게 구조화면접은 제대로 된 면접 도구의 개발과 운영, 면접관 훈련을 필요로 합니다.

 

  1. 면접도구
    1. 표준화된 질문과 질문 순서
    2. 지원자 답변 유형에 따른 추가 질문
    3. 평가 기준
  2. 면접운영
    1. 면접 기록
    2. 전체 면접 대상자에 대한 질문별 비교, 분석
  3. 면접관 훈련

 

여러분이 속하신 조직에 대해 위 각 요소를 채점해 보면 어느 정도 점수를 주실 수 있을까요?

 

 

실제로 채용 현장에서 구조화면접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면접에 지원한 지원자들의 면접 후기를 보는 것입니다. 구조화면접을 표방하는 많은 조직의 면접 후기를 살펴보면 안타깝게도 구조화면접과는 거리가 먼 질문과 운영이 난무하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아슬아슬한 전통적 면접 질문을 하는 면접관도 있고, 일반적으로 구조화면접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기타 이상한 질문을 하는 면접관도 많습니다. 면접관이 평가를 위해 면접 내용을 메모한다는 후기도 좀처럼 볼 수 없습니다. 국내의 대부분, 숫자로 말하자면 90~95% 정도 기업의 면접 후기를 보면 면접도구가 구조화되지 않았거나, 충분한 면접관 훈련을 하지 않았거나, 훈련 받지 않은 면접관이 면접을 진행 것으로 보입니다.

 

구조화면접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면접에서 평가 항목별 점수가 유관한 다른 전형에서의 점수와 어떤 상관계수를 보이는지만 분석해도 어느 정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면접에서 문제해결력을 평가했다면 적성검사 점수와 상관이 크게 나와야 할 것입니다. 또는 면접에서 성취지향성이나 팀워크를 평가했다면 인성검사에서 그 특성을 평가한 항목과의 상관이 크게 나와야 한다고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실제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 면접 점수는 인성검사의 외향성 요인과만 상관을 보입니다. 구조화면접은 말뿐이고 제대로 면접을 못하고 있다는 얘기지요.

 

여러분의 구조화면접은 안녕하십니까? 내부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를 분석해 보십시오. 그게 아니라면 지원자들이 남기는 면접 후기를 면밀히 분석해 보시기 바랍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자세한 BSC 서비스 안내자료를 원하시면,

아래 배너를 클릭하셔서 BSC 홈페이지의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