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채용일반] 데이터 드리븐 HR을 채용에 적용하기

채용일반과 채용대행

by 비에스씨 2024. 11. 13. 08:00

본문

 

 

데이터 기반 HR(Data Driven HR)을 채용 프로세스에 적용하는 것은 현대 기업의 중요한 과제입니다. Tippins, Papinchock, 그리고 Solberg(2010)가 제시한 '선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네 가지 결정 사항'을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 채용 전략을 수립해 보겠습니다.

 

 

■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What should be measured)

 

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직무 적합성과 조직 적합성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직무 관련 경험: 지원자의 과거 경력이 해당 직무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평가합니다.
  • 핵심 역량: 해당 직무에 필요한 기술과 능력을 정의하고 측정합니다.
  • 문화적 적합성: 지원자의 가치관과 회사의 조직 문화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평가합니다.

 

■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How it should be measured)

 

측정 방법은 정확성과 효율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 구조화된 인터뷰: 일관된 질문을 통해 지원자들을 공정하게 평가합니다.
  • 온라인 평가 도구: 기술 테스트, 성격 검사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실무 과제: 실제 업무와 유사한 과제를 통해 지원자의 능력을 평가합니다.

 

■ 타당성 증거 수집 방법 (How validity evidence should be collected)

 

선발 도구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측 타당도 연구: 선발된 직원들의 장기적인 성과를 추적하여 선발 도구의 예측력을 검증합니다.
  • 내용 타당도 분석: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평가 도구가 실제 직무 요구사항을 잘 반영하는지 확인합니다.
  • 구성 타당도 검증: 다양한 평가 방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정확히 평가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결과 점수의 활용 방법 (How to use the resulting scores)

 

수집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가중치 부여: 각 평가 요소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종합 점수를 산출합니다.
  • 컷오프 점수 설정: 최소 기준 점수를 설정하여 기본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지원자만 선별합니다.
  • 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를 통해 채용 단계별 현황과 지원자 데이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2.

 

■ 데이터 기반 채용의 장점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통해 채용 프로세스를 개선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객관성 향상: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 효율성 증대: 채용 단계별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병목 현상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2.
  • 품질 개선: 장기적으로 채용의 질을 높여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합니다.

 

 

 

데이터 기반 HR을 채용에 적용하는 것은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는 조직의 의사결정 문화를 변화시키고, 더 나은 인재 확보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조직은 더욱 효과적인 채용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글: 비에스씨 연구소)

 

자세한 BSC 서비스 안내자료를 원하시면,

아래 배너를 클릭하셔서 BSC 홈페이지의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관련글 더보기